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 사용자의 임금, 보상금 등 금품지급 의무
1. 사망ᆞ퇴직한 근로자에 대한 금품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함.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해 기일을 연장할 수 있음 (근로기준법 제36조)
2. 미지급 임금에 대한 지연이자
(1) 지연이자의 이율
사용자는 금품청산에 따라 지급해야 하는 임금 및 퇴직급여제도에 따라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일시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해 연장 가능)에 지급하지 않은 경우 그 다음 날부터 지급하는 날까지의 지연 일수에 대해 연 100분의 20의 지연이자를 지급하여야 함(근로기준법 제37조제1항,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17조)
(2) 지연이자의 적용제외 사유
위의 미지급 임금에 대한 지연이자 지급규정은 사용자가 천재·사변, 그 밖에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에 따라 임금 지급을 지연하는 경우 그 사유가 존속하는 기간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음 (근로기준법 제37조 제2항,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18조)
1. 사용자가 천재·사변으로 임금 지급을 지연하는 경우
2. 퇴직한 근로자가 미지급 임금등의 지급을 청구하였으나, 사업주가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사유에 해당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주를 대신하여 지급하는 경우(임금채권보장법 제7조 제1항 제1호부터 제3호까지 및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제5조)
√ 회생절차개시의 결정이 있는 경우
√ 파산선고의 결정이 있는 경우
√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제5조에서 규정하는 도산등사실인정의 요건ᆞ절차에 따라 미지급 임금등을 지급할 능력이 없다고 고용노동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
3.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국가재정법, 지방자치법 등 법령상의 제약에 따라 임금 및 퇴직금을 지급할 자금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
4. 지급이 지연되고 있는 임금 및 퇴직금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존부(存否)를 법원이나 노동위원회에서 다투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5. 그 밖에 2부터 4까지에 준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
3. 금품청산의무 위반에 대한 벌칙
금품청산의무를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짐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1항)
이 경우 피해자의 명시적인 의사와 다르게 공소를 제기할 수 없음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2항)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불임금(임금체불, 임금 미지급)에 대한 진정ᆞ고소 (0) | 2022.06.21 |
---|---|
퇴직 근로자 및 재직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대지급금의 의의 및 범위 (0) | 2022.06.21 |
임금의 지급 보호(위약 예정의 금지, 전차금 상계의 금지, 강제저축의 금지) 및 임금채권 압류 금지 (0) | 2022.06.17 |
임금지급의 4원칙 및 임금의 비상시 지급 (0) | 2022.06.17 |
평균임금의 의의 및 평균임금의 산정에서 제외되는 기간과 임금 (0) | 2022.06.1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