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취소의 의의

취소란 일단 유효하게 성립한 법률행위의 효력을 행위시에 소급하여 무효로 하는 특정인(취소권자)의 의사표시이다(140조~제142).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는 이처럼 취소가 있을 때에 비로소 소급하여 무효가 되는 것이므로 취소하기까지는 그 법률행위는 그대로 유효한 것이며, 취소권자가 최소권을 포기 또는 추인(143조~제145)하거나 행사기간의 경과로 취소권이 소멸(146)하게 되면 그 법률행위는 유효한 것으로 확정된다.

 

2. 취소와 구별되는 개념

 

(1) 철회

민법상 인정되는 철회에는두 가지 유형이 있다.

 

① 효력이 발생하지 않은 의사표시의 철회

아직 효력이 생기지 않은 의사표시를 그대로 저지하여 장래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무능력자의 계약은 추인이 있을 때까지 상대방이 그 의사표시를 철회할 수 있고(16조제1), 무권대리인이 한 계약은 본인의 추인이 있을 때까지 상대방은 이를 철회할 수 있으며(134), 유언자는 생전에 유언을 철회할 수 있는 것(1108) 등이 이러한 유형이다.

 

② 발생한 의사표시의 효력을 장래에 향하여 소멸

일단 의사표시가 발생하기는 하였지만 그것만으로는 권리의무를 생기게 하지 못할 때에 그것에 기하여 법률행위가 행하여질 때까지 그 의사표시의 효력을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법정대리인은 미성년자가 법률행위를 하기 전에는 동의와 허락을 철회(규정에는취소라고 되어 있지만 이것은 철회의 의미임)할 수 있고(7), 영업허락에 대하여 이를 철회할 수 있는 것(8조제2) 등이 이러한 유형이다.

철회는 의사표시의 효과를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킨다는 점에서 취소와 구별된다.

 

(2) 해제

유효하게 성립된 계약에 있어 당사자 일방의 채무불이행이 있는 경우 그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소급적으로 소멸시키는 것이 해제인데(543조 이하 참조), 이것은 법률행위 중에서도 계약에만 특유한 것이며, 채무불이행을 원인으로 하는 점에서 취소와는 다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Law News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국내외의 법률과 판례에 기초한 일반적인 법률정보 입니다.

 

본 블로그에서 제공한 정보는 학술적 목적 또는 일반 정보제공 목적이므로 구체적인 법률적 판단에 그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본 블로그의 글은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고 구체적인 법률 판단 및 조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법률전문가의 자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