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 있는 의사표시(비진의 표시, 통정허위표시, 착오사기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1. 의사표시

의사표시란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려는 의사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으로, 법률행위의 본질적 구성부분임

의사표시는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원하는 내심의 의사와 외부에 표시하는 행위로 분리할 수 있음

법률행위가 유효하려면 의사표시에 관하여 의사와 표시가 일치하고 의사표시에 하자가 없어야 함(민법 제107, 108, 109, 110)

 

2. 하자() 있는 의사표시

 

(1) 진의 아닌 의사표시(비진의 표시)

진의 아닌 의사표시란 농담이나 거짓말과 같이 표의자가 진의와 다른 의사표시를 스스로 알면서 하는 것을 말함

의사표시는 표의자가 진의 아님을 알고 한 것이라도 그 효력이 있음, 그러나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 아님을 알았거나 이를 알 수 있었을 경우에는 무효로 하며, 이러한 의사표시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함(민법 제107조 제1, 2)

 

어떠한 의사표시가 비진의 의사표시로서 무효라고 주장하는 경우에 그 입증책임은 그 주장자에게 있음(대법원 1992.5.22. 선고 922295판결)

 

(2)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통정허위표시)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란 표의자가 상대방과 통정하여 행한 진의와 다른 의사표시를 하며, 허위표시는 통정허위표시가장행위라고도 함

상대방과 통정한 허위의 표시는 무효로 함. 다만, 이러한 의사표시의 무효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함(민법 제108조 제1. 2)

3자의 선의 또는 악의의 주장증명책임은 제3자의 악의를 주장하는 자가 증명하여야 함(대법원 2006.3.10. 선고 20021321 판결)

 

(3)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

착오란 표의자가 진의와 다르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한 의사표시를 말함

착오로 인한 의사표시는 법률행위의 내용의 중요부분에 착오가 있는 때에는 취소할 수 있음. 그러나 그 착오가 표의자의 중대한 과실로 인한 때에는 취소하지 못함. 다만, 이러한 의사표시의 취소는 선의의 제3자에게는 대항하지 못함(민법 제109)

 

착오는 다음과 같이 분류됨

 

① 동기의 착오

머지 않아 철도가 부설될 것으로 오해하여 토지를 고가로 매수한 경우와 같이 의사표시를 하게 된 동기에 착오가 있는 경우

 

동기는 의사표시의 내용이 아니므로 원칙적으로 동기의 착오를 이유로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없지만, 동기가 표시되고 「민법」 제109조의 요건을 갖추면 취소 가능(대법원 1998.2.10. 선고 9744737 판결). 또한 착오가 상대방으로부터 유발되었거나 제공된 경우에는 동기의 착오라도 중요부분의 착오로서 취소 가능(대법원 1992.2.25. 선고 9138419 판결 등)

 

② 내용의 착오

보증채무와 연대채무를 같은 것으로 오해하여 연대채무자가 되는 것을 승낙한 경우, 파운드와 달러를 같은 가치로 오해하여 100파운드로 매수할 것을 승낙한 경우 등 행위의 의미를 잘못 알고 한 경우

 

③ 표시의 착오

10만원이라고 기재해야 할 것을 무심히 100만원이라고 잘못 기재한 경우, 부동산거래계약서에 서명·날인한다는 착각에 빠진 상태로 연대보증의 서면에 서명날인한 경우로서 오기(誤記)오담(誤談)의 형태

 

④ 표시기관의 착오

전보에 의하여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나 전신기사의 잘못으로 표의자가 한 것과는 상이한 것이 전하여진 것과 같은 경우. 표시기관의 착오는 표시의 착오와 같은 것으로 판단함

 

(4) 사기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사기나 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는 취소할 수 있음(민법 제110조 제1)

상대방 있는 의사표시에 관하여 제3자가 사기나 강박을 행한 경우에는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에 한하여 그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있음(민법 제110조 제2)

다만, 강박에 의해 자유로운 의사결정의 여지가 완전히 박탈되어 그 외형만 갖춘 의사표시나 법률행위는 무효임(대법원 2003.5.13. 선고 200273708 판결).

이러한 의사표시의 취소는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함(민법 제110조 제3)

 

사기 강박으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 피해자는 그 계약을 취소하지 않고 그 제3자에게 불법행위책임에 따른 책임을 물을 수 있음(대법원 2007.4.12. 선고 200462641 판결)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Law News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국내외의 법률과 판례에 기초한 일반적인 법률정보 입니다.

 

본 블로그에서 제공한 정보는 학술적 목적 또는 일반 정보제공 목적이므로 구체적인 법률적 판단에 그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본 블로그의 글은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고 구체적인 법률 판단 및 조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법률전문가의 자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