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의 의미, 당연퇴직이 근로기준법상 해고에 해당하는지 여부
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해고란 실제 사업장에서 불리우는 명칭이나 그 절차에 관계없이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에 의하여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떠한 사유의 발생을 당연퇴직사유로 규정하고 그 절차를 통상의 해고나 징계해고와는 달리 하였더라도 근로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사용자측에서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이면 성질상 이는 해고로서 근로기준법에 의한 제한을 받는다고 보아야 합니다.
대법원 판례(대법원 1993. 10. 26. 선고 92다54210 판결)도 이와 같은 취지로 회사가 어떠한 사유의 발생을 당연퇴직사유로 규정하고 그 절차를 통상의 해고나 징계해고와는 달리 하였더라도 근로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사용자측에서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이면 성질상 이는 해고로서 근로기준법에 의한 제한을 받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해당 대법원 판례의 판결요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법원 1993. 10. 26. 선고 92다54210 판결
요 지
1. 근로계약의 종료사유는 근로자의 의사나 동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퇴직,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해고, 근로자나 사용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자동소멸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근로기준법 제27조에서 말하는 해고란 실제 사업장에서 불리우는 명칭이나 그 절차에 관계없이 위의 두번째에 해당하는 모든 근로계약관계의 종료를 의미한다.
2. 회사가 어떠한 사유의 발생을 당연퇴직사유로 규정하고 그 절차를 통상의 해고나 징계해고와는 달리 하였더라도 근로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사용자측에서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이면 성질상 이는 해고로서 근로기준법에 의한 제한을 받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근로자에 대한 퇴직조처가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서 당연퇴직으로 규정되었다 하더라도 위 퇴직조처가 유효하기 위하여는 근로기준법 제27조 제1항이 규정하는 바의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고, 이와 같은 정당한 이유가 없는 경우에는 퇴직처분무효확인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안정협약에 반하여 이루어진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효과 (0) | 2020.03.10 |
---|---|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의의 /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유효요건 (0) | 2020.03.05 |
징계사유로서의 성희롱 요건, 증명 책임 및 증명의 정도 (0) | 2020.03.04 |
정당한 이유가 있는 해고 / 정당한 이유가 없는 해고 (0) | 2017.05.18 |
사직의 의사가 없는 근로자가 권고사직에 의해 사직서를 제출한 경우, 실질적 해고에 해당되는지 여부 (0) | 2017.05.1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