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보상보험이란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1조(목적) 이 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며,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보험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재해 예방과 그 밖에 근로자의 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을 시행하여 근로자 보호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민법상 손해배상은 민법 제750조에 따라 다른 사람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손해를 입은 경우에 청구할 수 있는 손해배상입니다.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이와 달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산재보상은 사용자가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해 고의 또는 과실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묻지 않고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를 지급합니다.
따라서 산재근로자는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지급받는 외에 사업주의 고의 또는 과실로 업무상 재해를 입은 경우에는 사업주 등을 상대로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재근로자가 민사상 손해배상을 받은 경우 근로복지공단은 손해배상을 받은 금품만큼 보험급여의 금액의 한도 안에서 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않으므로 산재근로자의 입장에서 가장 유리한 방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우선 청구하고, 민사상 손해배상액과 차액이 있을 경우에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것입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80조(다른 보상이나 배상과의 관계) ① 수급권자가 이 법에 따라 보험급여를 받았거나 받을 수 있으면 보험가입자는 동일한 사유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에 따른 재해보상 책임이 면제된다.
② 수급권자가 동일한 사유에 대하여 이 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받으면 보험가입자는 그 금액의 한도 안에서 「민법」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른 손해배상의 책임이 면제된다. 이 경우 장해보상연금 또는 유족보상연금을 받고 있는 자는 장해보상일시금 또는 유족보상일시금을 받은 것으로 본다.
③ 수급권자가 동일한 사유로 「민법」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라 이 법의 보험급여에 상당한 금품을 받으면 공단은 그 받은 금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환산한 금액의 한도 안에서 이 법에 따른 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다만, 제2항 후단에 따라 수급권자가 지급받은 것으로 보게 되는 장해보상일시금 또는 유족보상일시금에 해당하는 연금액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요양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요양을 시작한 후 3년이 지난 날 이후에 상병보상연금을 지급받고 있으면 「근로기준법」 제23조제2항 단서를 적용할 때 그 사용자는 그 3년이 지난 날 이후에는 같은 법 제84조에 따른 일시보상을 지급한 것으로 본다.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을 못 받았을 경우 대응 방법(임금 체불 시 대처 방법) (0) | 2013.04.12 |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업무상 재해 인정기준 (0) | 2013.01.05 |
[연차휴가] 근로자 퇴사시의 연차사용촉진제도에도 불구하고 미사용 연차휴가 수당을 지급하여야 하는지? (0) | 2013.01.02 |
[최저임금] 최저임금의 효력 및 위반시의 벌칙 (0) | 2013.01.02 |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및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0) | 2012.12.28 |
최근댓글